THE DEVLOG
Create Next App으로 블로그를 만들기 위한 기초적인 프로젝트 세팅이다. Next js 시작 cli가 실행되면 아래와 같이 선택한다. 스니펫 설정 를 선택하여 스니펫을 설...
7일차 주요 구현 기능인 IndexedDB를 이용한 로컬 자동저장에 관한 정리 글이다. IndexedDB의 주요 개념과 실제 구현 코드링크를 담았다.
블로그의 핵심 기능인 Markdown 편집기의 구현 내용을 정리한 게시글.\ 12일차부터 Milkdown/crepe를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Remark Remark는 마크다운을 A...
16, 17일차에 구현했던 텍스트 임베딩과 코사인 유사도에 관한 내용을 정리한 글. 텍스트 임베딩이란? 텍스트 임베딩이란 문장이나 단어를 고차원 벡터 공간의 좌표로 변환하는 것.\...
16, 17일차부터 구현한 유사 게시글 군집화(DBSCAN)에 관해 정리한 내용. 군집화 알고리즘 1. K-Means K-Means Clustering | The Easier Wa...
24일차부터 구현했던 검색 기능과 관련하여 정리한 게시글. 블로그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됐던 이유 1. 많은 분량의 게시글을 관리하기 힘들어서 -이는 chatGPT와 text-emb...
11일차부터 개발한 사이드바와 관련하여 정리한 게시글 Segement-based 렌더링 에서 사이드바를 구현하고, 에서 게시글 렌더링 한다. 이때 폴더 구조를 위와 같이 렌더링하...
10일차부터 구현했던 supabase 백엔드 연동을 위한 함수들에 대한 내용이다. main/utils/nextCache.ts 확장된 fetch Web API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에...